
강아지의 꼬리 언어
강아지언어 중 강아지 꼬리의 움직임은 반려견의 감정을 파악하는 데 중요한 단서가 됩니다.
꼬리를 높이 들고 흔드는 모습은 강아지가 흥분상태이거나 자신감 있는 감정을 보여줍니다. 상황에 따라서 과도한 흥분일 수 있어 주의해야 합니다. 꼬리를 낮게 두고 천천히 흔드는 모습을 보인다면 현재 강아지가 불안하거나 두려워하는 상태일 수 있습니다. 꼬리를 다리 사이에 말아 넣는 모습을 보일 경우 강아지가 극도로 두렵거나 무서움 혹은 복종의 뜻입니다. 빠르게 꼬리를 흔드는 모습을 보일 경우 감정이 매우 기쁘거나 행복해 보일 때도 있지만 반대로 너무 빠르게 흔들리면 긴장을 하고 있거나 스트레스를 받고 있다는 감정 표현일 가능성도 있습니다.
강아지의 몸짓 언어
강아지언어 중 몸짓은 감정을 직접적으로 보여줍니다. 몸을 낮추고 귀를 뒤로 젖힌다면 복종의 모습이거나 불안감을 느끼고 있다는 행동으로 표현됩니다. 강아지가 뻣뻣하게 서서 귀를 세우고 주시한다면 현재 경계 상태에 있으며 앞에 있는 사람이나 다른 동물들을 평가 중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강아지가 배를 보이며 눕는다면 보호자에 대한 신뢰와 복종하고 있다는 의미로 보호자에게 친밀감과 애정을 표현할 때 볼 수 있는 행동입니다. 앞발을 들어 올리고 사람을 바라본다면 관심이나 놀고 싶다는 감정언어로 그럴 때에는 강아지와 시간을 더 보내주시면 좋습니다. 이러한 몸짓 언어는 꼬리 움직임과 함께 확인하고 분석해야 조금이라도 더 강아지가 하고자 하는 말과 의미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강아지의 얼굴 표정
강아지는 사람과는 조금 다르지만 스스로의 감정을 주로 섬세한 눈과 얼굴을 통해 보호자에게 전달하려고 노력합니다. 눈을 크게 뜨고 응시한다면 도전적이거나 경계하는 상태로 해석이 가능하고 눈을 가늘게 뜨고 눈을 피한다면 복종하거나 긴장감을 느끼고 있음을 의미합니다. 입을 벌리고 혀를 내밀며 헥헥거린다면 편안하거나 행복한 상태일 가능성이 있지만 반대로 날씨가 덥거나 스트레스를 받을 때도 이런 모습을 보일 수 있으니 주변 환경을 확인해야 합니다. 강아지가 입술을 핥거나 하품한다면 불안하거나 긴장한 상태에서 자주 나타나는 행동으로 볼 수 있습니다.
상황에 따른 주의해야 할 강아지언어
특정 상황에서 나타나는 강아지의 언어를 이해하면 강아지와 유대감은 더 깊어질 수 있습니다. 낯선 사람을 만날 때 꼬리를 낮게 흔든다면 긴장하거나 경계 중일 가능성이 높으니 천천히 접근해야 하고 산책 중 꼬리를 높이 세우고 귀를 쫑긋 세운다면 주변 환경에 관심을 가지고 탐구하는 상태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공놀이 혹은 터그놀이 등 놀이 시간 중 앞발을 앞으로 뻗고 엉덩이를 들어 올린다면 같이 놀자는 신호로 보호자와 함께 놀고 싶다는 표현입니다. 반면에 꼬리를 세우고 으르렁거린다면 공격적인 행동 전조일 수 있으니 강아지를 더욱 주의깊게 살피고 강아지의 긴장감을 낮춰주는 훈련이 필요합니다.
강아지언어를 이해하고 소통하는 방법
강아지의 언어를 전반적으로 섬세하게 관찰하는 보호자의 노력은 반려견의 행동과 언어를 점차 이해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강아지가 편안함을 느낄 수 있도록 도와주는 긍정적인 칭찬과 간식을 보상하는 것으로 긍정적인 관계가 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불안해하거나 두려움을 느끼는 것으로 보이는 행동과 언어를 보여준다면 긴장감 완화를 위해 보호자의 안정된 목소리와 스킨쉽 또한 큰 도움이 됩니다. 강아지가 자연스럽게 의사를 표현할 수 있도록 놀이와 훈련을 병행하여 규칙적으로 시간을 갖어야 하며 스트레스 신호를 피곤하거나 불안한 모습으로 보여줄 때 강아지에게 행동이나 훈련 등을 강요하지 말고 충분한 휴식할 시간을 주는 것이 필요합니다.
'반려견과 행복한 하루를 위해' 카테고리의 다른 글
| 강아지의 "후각훈련", 안정 찾기 (0) | 2024.12.04 | 
|---|---|
| 강아지 "수면시간"과 건강의 관계 (0) | 2024.12.03 | 
| 강아지털로 보는 건강상태 확인하기 (1) | 2024.12.01 | 
| 강아지 도그요가 & 스트레칭 알아보기 (2) | 2024.11.30 | 
| 반려견을 위한 천연방충제 DIY 만들기 (0) | 2024.11.29 | 
 
                    
                  